광고 도메인 이해-1
광고주 (Advertiser, Buyer)
광고 대행사, 매체와 구별되는 핵심 엔티티.
광고주는 광고 계획안의 기본을 작성한 뒤 표현, 매체 연결, 제작 등과 관련된 일체의 업무를 광고 대행사에 일임한다.
광고 대행사의 입장에서 광고주는 Client 또는 Sponeser라고 표현한다.
광고 대행사 (Advertising Agency)
광고주의 광고를 대행하는 회사를 의미.
대행의 업무는 매체 노출, 컨텐츠 창작 등 다양한 업무 범위를 갖고 있다.
이에 따라 종합광고 대행, 디지털광고 대행, 검색광고 대행 등 폭 넓은 범위를 갖고 있다.
퍼블리셔 (Publisher, Supply, Seller)
소비자(User)와 직접 접촉하는 매체를 관리하는 사람 또는 회사.
네이버, 카카오, 쿠팡 등이 Display Publisher에 해당한다.
치지직, 카카오tv, 유튜브 등이 Video Publisher에 해당한다.
광고 인벤토리 (Ad Inventory)
퍼블리셔가 판매하는 공간을 의미.
ADN (Ad Network) - 광고주 입장
매체사의 다양한 광고 인벤토리를 모아 상품화하여 광고주에게 제공하는 서비스.————————————————————————
역사 인터넷이 상업화되며 수많은 웹사이트들이 자신의 광고 공간을 팔기 시작.
개별 광고주와 퍼블리셔 간의 거래가 어려웠음. (소통창구 부재)
이를 위해 등장한 것이 ADN.
————————————————————————
역할
여러 퍼블리셔의 광고 인벤토리를 묶어서 하나의 패키지로 판매광고주는 카테고리 (스포츠, 뷰티 등) 단위로 타겟팅이 가능
우리가 아는 ADN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은 AdSense (Google)
SSP (Supply Side Platform) - 퍼블리셔 입장
퍼블리셔가 보유한 광고 인벤토리를 판매하는 서비스.
————————————————————————
역사 퍼블리셔 입장에서 ADN은 불리했음.
광고 인벤토리를 제 값에 판매하기 어려웠고 ADN에 의존적인 문제 존재.
퍼블리셔가 여러 ADN과 동시에 연결해서 최적가에 판매하려는 요구사항 등장.
이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것이 SSP.
————————————————————————
역할
퍼블리셔가 보유한 광고 인벤토리를 다양한 ADN/DSP에 노출광고 요청 당 최적의 광고 입찰가를 선택.
Ad Exchange
DSP (광고주 측)와 SSP(퍼블리셔 측)이 실시간으로 광고 인벤토리를 사고 파는 오픈 마켓 플레이스.
————————————————————————
역사 ADN과 SSP가 많아지며 광고 거래의 복잡도 증가
광고주와 퍼블리셔가 실시간으로 광고 인벤토리를 거래할 수 있는 개방형 시장의 필요성 부각.
이를 위해 Ad Exchange가 등장.
————————————————————————
역할
SSP에서 판매하는 인벤토리를 여러 DSP들이 실시간 경매(RTB)로 입찰.
DSP (Demand Side Platform) - 광고주 입장
광고주 입장에서 최적화된 광고 인벤토리를 구매하는 서비스.
————————————————————————
역사 광고주나 대행사 입장에서 ADN을 여러 개 관리하는건 비효율적.
한 곳에서 여러 SSP, Ad Exchange에 접근하여 입찰할 수 있는 자동화 시스템이 필요.
이를 위해 DSP 등장.
————————————————————————
역할
광고주가 여러 SSP/Ad Exchange에 걸쳐 광고 인벤토리를 프로그램매틱하게 구매.
RTB (Real Time Bidding)
광고 인벤토리를 실시간으로 경매하는 방식
ATD (Agency Trading Desk)
광고 대행사가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프로그래매틱 광고 구매 시스템.
광고주의 목적과 적합한 고객이 있는 “매체”를 찾아내고 실시간 입찰을 통해 광고를 거래하는 시스템.
ATD는 다수의 DSP를 포함한 전반적인 RTB 플랫폼(네이버,카카오,페이스북,유튜브 등)들과 연동되어 포괄적인 광고 집행을 도와줌.
프로그래매틱 바잉에 따른 광고 결과를 분석 및 보고를 통해 데이터 기반 타겟팅 최적화를 실시할 수 있음.
DMP (Data Management Platform)
광고 인벤토리 입찰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해주는 서비스
'Backend'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 큐레이션으로 소개하는 기능과 책임 (0) | 2025.04.08 |
---|---|
linux 파일 권한 그룹 단위 부여하기 (2) | 2024.11.22 |
Intellij Plugins 설치 실패 및 DB Driver 설치 실패 (0) | 2024.11.21 |
나만의 서버 구성기 (0) | 2024.05.16 |
광고 시스템 이해를 위한 기초 지식 (0) | 2024.05.07 |